niceboy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niceboy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0)
    • 감정일기(비공개) (1)
    • AWS (8)
      • 유투버 DevOpsArt (4)
    • TIL (10)
    • 강의 요약 (0)
    • 언어 (0)
    • 시스템 (0)
      • 리눅스 (0)
      • 윈도우서버 (0)
    • 자격증 (0)
      • 정보처리산업기사 (0)
      • 컴퓨터활용능력1급 (0)

검색 레이어

niceboy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TIL

  • 5월30일 TIL

    2023.05.30 by niceboy98

  • 5월26일 TIL

    2023.05.26 by niceboy98

  • 5월25일 TIL

    2023.05.25 by niceboy98

  • 5월24일 TIL

    2023.05.24 by niceboy98

  • 5월23일 TIL

    2023.05.23 by niceboy98

  • 5월22일 TIL

    2023.05.22 by niceboy98

  • 4월17일 TIL

    2023.04.17 by niceboy98

  • 4월 2주차 TIL(10일~14일)

    2023.04.10 by niceboy98

  • 4월 1주차TIL(03일~07일)

    2023.04.03 by niceboy98

  • 3월 5주차TIL(27일~31일)

    2023.03.29 by niceboy98

5월30일 TIL

6: 가상화란? 클라우드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중 하나이다. "단일 컴퓨터의 하드웨어 요소를 일시적으로 가성 머신(VM)이라고 하는 다수의 가상 컴퓨터로 분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 컴퓨터 관리자의 입장에서 빌드서버, 웹서버, 메일서버 각각의 컴퓨터의 점유율을 확인해보니 사용하지 않는 잉여자원이 남는다는 것. 그래서 이것을 통합하여 하나의 서버에 몰아넣게 되는 것. 비용 절약 및 리소스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배경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OS) : 시스템 하드웨어 자원과 소프트웨어 자원을 운영 관리하는 프로그램 Windows, Linux, MacOS, Android.. 특권 명령 (privileged instruction) : 시스템 요소들(메모리, 컴퓨터에 있는 하드웨어)과..

TIL 2023. 5. 30. 10:44

5월26일 TIL

5: IAM 기초 예전에 이미 IAM에 대해 정리를 한 적이 있어 이번 강의는 조금 쉽게 정리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AWS서비스와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AWS 사용자 및 그룹을 만들고 관리하며 AWS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 및 거부할 수 있습니다. AWS 어카운트 관리 및 리소스/사용자/서비스의 권한 제어 서비스 사용을 위한 인증 정보 부여 사용자의 생성 및 관리 및 계정의 보안 사용자의 패스워드 정책 관리 다른 계정과의 리소스 공유 Identity Federation(Facebook 로그인, 구글 로그인 등) 계정에 별명 부여 가능 -> 로그인 주소 생성 가능 IAM은 글로벌 서비스 (Regio..

TIL 2023. 5. 26. 16:55

5월25일 TIL

4:AWS 계정 만들기 및 첫 설정 AWS걔정에는 크게 2가지 종류가 있다. 1. 계정 생성 시 만들어지는 모든 권한에 접근 가능한 루트 계정 2. 부여한 권한만을 사용할 수 있는 IAM계정이 있다. IAM 계정 루트 계정을 만들 때 주어진 아이디로 로그인 IAM계정은 외부로부터 탈취당했을 때, 계정 삭제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지만 루트 계정은 조치가 어렵다. 따라서 루트 계정의 사용은 최소화 해야한다. 루트 계정으로는 관리용 IAM계정을 만들고 관리하는것이 루트 계정의 사용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빌링 관련 권한은 별도로 루트 계정에서의 허용이 필요하다. 리전 설정하기 로그인 후 리전은 서울로 바꾸는것을 권장한다. MFA 설정하기 메뉴창 -> 보안 자격 증명 -> MFA설정을 들어간 뒤 모바일 기..

TIL 2023. 5. 25. 17:02

5월24일 TIL

어제 내용정리는 완벽하게 못했는데 오늘도 이어서 리전에 대해 공부를 해 보았습니다. 가용 영역 (Availability Zone) (데이터 센터 건물) 리전의 하부 단위를 말한다 하나의 리전은 반드시 2개 이상의 가용영역으로 구성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 리전 간의 연결은 매우 빠른 전용 네트워크로 연결 반드시 물리적으로 일정 거리 (몇 KM 이상) 떨어져 있음 다만 모든 AZ는 서로 100km 이내의 거리에 위치 여러 재해에 대한 대비 및 보안 각 계정별로 AZ의 코드와 실제 위치는 다름 예) 계정 Test1의 AZ-A는 계정 Test2의 AZ-A와 다른 위치(랜덤) 보안 및 한 AZ로 몰림을 방지 유저 A가 AZ-A에만 데이터를 보관 시 유저 B가 그것을 알고 데이터에 접근을 시도할 수 있다...

TIL 2023. 5. 24. 17:16

5월23일 TIL

3: AWS의 구조-리전,가용역역,엣지로케이션 등 리전(Region) 지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AWS의 서비스는 크게 3가지로 나뉜다. AWS에 속해있고 따로 리전에 따로 속해있지 않는 영역(Global Service) 리전 안에 속해있지만 가용영여겡 속해있지 않은 영역 리전 안에 가용영역 안에 속해있는 영역 리전이 무엇인가 ? 전 세계에 리전이 분포되어있는데, AWS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서버의 물리적 위치이다. 전 세계에 흩어져 있으며 큰 구분 (동남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등)으로 묶여 있음 각 리전에는 고유의 코드가 부여됨 예시 : 서울 리전은 ap-northeast-2 예시2 : 미국 동부(버니지아 북부)리전은 us-east-1 리전별로 가능한 서비스가 다름 리전을 선택할 때 고려할 점 지연 속도..

TIL 2023. 5. 23. 16:58

5월22일 TIL

그동안 한달동안 저에게 감당하기 어려운 큰 일이 있어 TIL을 못했었는데, 이제 다시 맘 잡고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한달만에 시작하는 만큼 오늘은 가볍게 복습으로 시작하겠습니다. MSP : Managed Services Provider 아웃 소싱된 타사회사로서, 다른 회사(즉, 고객)의 다양한 작업 및 기능에 대한 지속적인 일상적인 책임,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를 담당 CSP : Cloud Service Provider(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기업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주문형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스토리지,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의 확장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제3자 회사이다. MSP와 CSP의 예시 회사를 보면 대충은 알것 같은데 정확하게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TIL 2023. 5. 22. 23:31

4월17일 TIL

오늘은 지난주에 마무리를 못했던 "쉽게 설명하는 AWS 기초 강좌 2: 클라우드 컴퓨팅의 종류"강의에 대해 정리를 하겠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배포모델 공개형(Public) 클라우드 누구나 함께 이용할 수 있게 구축된 대규모 클라우드 서비스로 사용자는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의 클라우드 자원을 할당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이다. 필요한 서버를 즉시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트래픽 및 자원 사용량 증가 시 바로 확장성이 가능한 확장성, 저렴한 서비스 비용으로 인한 경제성, 시스템 유지보수나 장애 대응을 위한 효율성과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에 최적화된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가 인프라를 소유하고 있고, 인터넷을 통해 일반적인 기업이나 개인에게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TIL 2023. 4. 17. 13:46

4월 2주차 TIL(10일~14일)

4월10일 MSP : Managed Services Provider 아웃 소싱된 타사회사로서, 다른 회사(즉, 고객)의 다양한 작업 및 기능에 대한 지속적인 일상적인 책임,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를 담당 EX) 국내 업체로는 메가존, 베스핀 글로벌, 삼성 SDS, SK C&C, LG CNS ==>CSP의 클라우드 인프라(물리적 서버 및 네트워크)를 빌린다. 그리고 고객사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CSP : Cloud Service Provider(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기업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주문형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스토리지,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의 확장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제3자 회사이다. EX) AWS 아마존 ..

TIL 2023. 4. 10. 23:06

4월 1주차TIL(03일~07일)

->주5일 날짜/제목/무엇을 공부했는지==>15개 ※매인디시 전체 요약 1개 4월3일 AMI(Amazon Machine Image) AMI는 EC2 인스턴스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모은 단위이다. EC2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CPU프로세서 타입이라던지 저장공간 용량, 32/64비트 인지, OS는 윈도우/리눅스인지, 소프트웨어는 어떤게 설치되었는지 등 정보가 필요한데 이러한 세팅 정보(템플릿)를 저장한 단위라고 생각하면 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IaaS, PaaS 및 SaaS비교 이 약어들간의 공톰점은 제3사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드, 고객 관계 관리와 같은 더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 각 유형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면 관리해야 할 온프레미스 인프라가 ..

TIL 2023. 4. 3. 13:24

3월 5주차TIL(27일~31일)

3월 27일 IAC정의 인프라를 이루는 서버, 미들웨어 그리고 서비스 등 인프라 구성용소들을 코드를 통해 구축하는것. 수동 프로세스가 아닌 코드를 통해 인프라를 관리하고 프로비저닝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비저닝 용어 찾기 IaC에 대한 선언적 접근과 명령형 접근 방식 비교 IaC에 대한 접근 방식에는 선언적 방식과 명령형 방식 두가지가 있다 선언적 방식 필요한 리소스와 리소스의 속성 등 바람직한 시스템 상태를 정의하면 IaC툴이 바람직한 상태로 구성해 준다. 또한 시스템 오브젝트의 현재 상태 목록을 유지하며, 이를 통해 인프라를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명령적 접근 방식 바람직한 구성을 얻기 위한 특정 명령을 정의 정의된 명령을 올바른 순서로 실행해야 한다. 3월 28일 IaC의 장점 자동화된 프로세스..

TIL 2023. 3. 29. 17:2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niceboy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