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의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s)의 합성어로, 소프트웨어 개발과 운영을 통합하는 방식
(그러나, 현재 데브옵스는 단순한 개발과 운영의 통합을 의미하는것은 아니다.
개발팀과 운영팀 생각의 차이에 대해서 인지하고 그 간극을 줄여보자는 이야기가 시작이였다.
그런 생각이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해서 현재는 소프트웨어 개발 혹은 더 나아가 우리의 일에 관한 포괄적인 철학과 방법론이 되었다.)
1.소프트웨어 개발 과정과 운영과정을 더욱 협력적으로 관리, 지속적인 통합과 배포를 통해 개발과 운영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2. 개발자와 운영자 사이의 협업을 강화하고, 자동화 도구와 테스트 자동화 등을 통해 빠른 배포와 높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3. 기업의 비지니스 요구사항에 더욱 빠르게 대응하고, 고객 요구사항을 더욱 신속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사람이 모여 팀이 존재하고 인원이 몇 명인지 그 팀의 가치가 무엇인지 그리고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도 구성요소로 볼 수 있다.
==>일을 위한 프로세스가 있고 방법론 등이 있다. 이를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문화가 완전히 달라진다. 서비스의 방향성 혹은 가치에 따라서 문화가 만들어 지기도 한다. 심지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유무형의 기술도 문화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다. 기술의 성숙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주어진 시간에 따른 퍼포먼스로 기업문화가 변화하고 진화한다. 현대의 서비스에서 속도라는 단어가 가장 화두인 이유이다 그래서 올바른 기업문화를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좋은 문화를 만드는 것은 굉장히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자동화를 통해 속도, 아정성 등을 갖출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와 도구를 통해 자동화를 하고 재사용 가능한 인프라를 만든다. 지속적통합 및 배포를 통해서 변경에 따른 소요시간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우리는 변경에 유연하고 탄력적인 서비스를 구축해야만 한다. 그리고 어떠한 사고에 대해서도 예측하고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변경사항 발생 시 항상 측정!
어플리케이션 성능, 개발 속도 모니터링
지속적으로 나아지고 있는지, 아닌지 측정
의사결정 시 추측 배제
==>무엇인가 변경되고 변화했으면 항상 측정하세요. 예측 불가능한 영역을 최대한 예측 가능한 영역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우리의 방향성에 대해서 항상 깊게 고민하고 의심해야 한다. 우리는 지속적으로 나아지고 있는지 혹은 문제는 무엇인지 항상 측정해야 한다. 그러한 측정 자표들은 중요한 의사결정들을 추측이 아닌 예측과 확신으로 만들어준다. 그래서 우리는 반드시 항상 측정해야 한다.
언제든 접근 가능한 투명한 데이터
지식의 공유 OpenMind!
문제 발생시 함께 해결
일의 가속도
==>홀로 성장하는 시대는 완전히 끝이 났다. 더 이상 그런 시대는 오지 않을 것이다. 구성원 모두가 대부분의 데이터를 언제든 접근할 수 있고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지식은 각자 배울 수는 있어도 항상 함께 공유해야 한다. 같이 성장해 나가야 한다.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우리의 문제로 인지해야 한다. 함께 해결해나가고 그 누구든 해결할 수 있다. 인턴이 CTO가 해결하지 못한 일을 해결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열려 잇어야 한다. 회사의 규모와 인원이 커져감에 따라서 일의 속도는 반비례하지 않고 가속도 그래프를 그려야 한다. 팀원들이 함께 하고 같이 노력해야 그러한 곡선을 만들 수 있다. 모든 일의 성공과 실패 결과물들은 항상 축적되어야 한다.
효율적으로 1만 시간의 법칙 이루는 것
==>모든 일의 성공과 실패 결과물들은 항상 축적되어야 한다.
결국 데브옵스는 어떤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하여, 일을 자동화하며 변경사항 지표들을 측정하고, 공유하고, 이 모든 성공과 실패의 결과물들을 지속적으로 축적해 나가는 문화를 만들어가는 철학, 방법론, 기술
※File up이란?
배포 프로세스의 일환으로 원격 서버나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에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것을 의미하낟. 데브옵스 팀은 종종 자동화된 도구와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배포를 간소화 하고 표준화 한다. 파일 업로드는 특히 어플리케이션에 변경 사항이나 업데이트를 배포할 때 이프로세스에서 중요한 단계인 경우가 많다.
※ChatGPT
File up과 Pile up은 "scale"이라는 단어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는, 데이터나 변경 사항의 대량 처리 능력과 관련된 경우 간접적으로 "scale"의 개념과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evOps 팀이 트래픽이나 데이터 양이 증가하여 확장해야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 파일 업로드와 관리 문제와 함께 테스트되지 않은 코드 변경의 쌓임을 피하는 것과 같은 문제를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속도와 효율화
현대의 서비스(S/W)는 너무나도 복잡하다. 앞으로 이 복잡도는 계속 걔속 증가할 것이다. 우리는 수많은 복잡한 문제들을 DevOps를 통해서 풀어나갈 수 있다.
따라서 DevOps는 빠른 시간에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응하며, 높은 생산성과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지원하는 방법론 중 하나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QAj3fsttKM4&list=PLSJb8dsKrZ97QCyLe3HNwlpYxXJnpJqSF&index=3
4강. AWS EC2 및 SSH 활용(미완성) (0) | 2023.03.30 |
---|---|
3강 Infrastructure as Code 의 최고 인기Terraform(테라폼) 현직 DevOps 엔지니어, AWS Hero 가 이야기하는 Terraform 기본설명! (0) | 2023.03.24 |
2강. DevOps 엔지니어 역활은? (0) | 2023.03.22 |